카테고리 없음
🏭 수소차 충전소, 어디에 있나요?
visanggu
2025. 6. 22. 23:14
반응형
수소차 시리즈 5편 | 인프라 현실과 확산 과제
🚗 “수소차는 좋은데, 충전소는 어디 있어요?”
수소차의 가장 큰 장점은 빠른 충전과 긴 주행거리입니다.
하지만 도로 위에서 수소차가 많지 않은 이유 중 하나는,
바로 충전소 부족이라는 현실적인 벽입니다.
이번 글에서는 한국의 수소충전소 현황, 이용 방법,
그리고 왜 인프라가 느리게 확산되는지를 정리해 봅니다.
🔍 현재 수소충전소 현황 (2025년 기준)
- 전국 운영 중인 충전소: 약 165곳
- 지역별 비중: 수도권(서울·경기·인천)에 집중,
지방은 접근성 매우 낮음 - 시간대별 운영 제한:
일부는 평일 낮 시간대만 운영, 주말 미운영도 다수
수도권 운전자는 상대적으로 편리,
비수도권 운전자는 사전 확인 필수!
🛠 왜 충전소가 이렇게 부족할까?
1. 설치 비용이 비쌈
- 수소충전소 1기 설치비: 약 30억 원 이상
- 고압탱크, 냉각설비 등 복잡한 안전 시스템 필요
- 민간 사업자가 쉽게 뛰어들기 어려운 구조
2. 안전규제와 인허가 문제
- 수소는 고압가스로 분류되어
소방, 환경, 도시계획 등 다중 인허가 절차 필요 - 설치까지 1~2년 이상 소요되는 경우도
3. 수소 공급망이 미비
- 수소는 생산지(수소플랜트)에서 저장·운반해야 함
- 현재는 액체수소, 기체수소 운송망 모두 부족
- 이송·공급에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됨
📌 충전소 지도는 어디서 확인할 수 있을까?
- 🔗 H2 Mobility Korea:
👉 https://www.h2nbiz.or.kr/index.do
→ 지역별 충전소, 운영시간, 실시간 이용 가능 여부 확인 - 🔗 환경부 통합 앱 ‘My 수소차’
→ 위치 기반 수소충전소 정보 및 보조금 정보까지 제공
💡 정부의 인프라 확충 대책
항목 | 내용 |
수소충전소 목표 | 2030년까지 660개소 이상 구축 |
공공 지원 | 설치비의 최대 50% 보조 + 부지 임대 지원 |
규제 완화 | 복합충전소 허용 (LPG + 수소, 전기 + 수소 등) |
민간 유치 | 도심·고속도로 중심 확대, 민간기업 참여 유도 |
🧭 어디에 설치되고 있을까?
- 도시형 충전소: 서울 마포, 성수, 인천 송도 등
→ 차량 밀집 지역 중심 - 고속도로형 충전소: 안성, 여주, 울산 등
→ 장거리 이용자를 위한 중간 거점 - 산업단지형 충전소: 창원, 울산 등
→ 상용차, 물류차량 대상
❗ 아직 불편한 점들
- 🕐 운영 시간 제한: 24시간 운영하는 곳은 일부에 불과
- 🛑 정비·점검으로 인한 휴무 많음
- ⛽ 대기 시간 발생 가능: 충전 1대당 약 5~10분 소요
- 📱 사전 앱 확인 필수: 예고 없이 닫히는 경우도 있음
🔄 해결을 위한 방향
- ✅ 고속도로 중심 확장 → 생활권 진입 필요
- ✅ 상업용 수소차와 병행 확대로 수요 확보
- ✅ 복합에너지 충전소 활성화로 공간 효율성 개선
- ✅ 그린수소 생산기지와 연계한 지역 집중 공급
🔗 참고 사이트
📢 다음편 예고
다음 편에서는 수소차의 핵심 기술 – 연료전지에 대해 소개합니다.
“수소가 어떻게 전기로 바뀌지?”, “연료전지는 얼마나 오래 쓸 수 있을까?”
기술의 원리와 실제 구조를 흥미롭게 풀어드릴게요.
반응형